Bootable CD Wizard(이하 BCDW)는 하나의 CD에 여러 부팅 이미지를 기록하고 원하는 부팅 이미지를 선택해서 부팅할 수 있는 부팅 메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다. Windows를 설치하거나 BartPE를 이용해서 컴퓨터를 부팅하려면 이미지 파일을 CD에 기록해서 CD로 시스템을 부팅한다. 그러나 보통 하나의 CD에 한 가지 부팅 이미지만을 기록할 수 있어서, CD에 많은 공간이 남아도 사용하지 못한다. BCDW는 이런 제약 없이 하나의 CD에서 여러 버전의 Windows 설치 이미지, BartPE 부팅 이미지, 각 프로그램의 시스템 복구 이미지 등을 사용할 수 있는 이미지 파일을 만들 수 있다.
이 글에서는 BCDW를 사용해서 Windows XP 설치와 BartPE 부팅, Macrium Reflect 백업 파일 복구의 세 가지 작업을 한 번에 할 수 있는 부팅 이미지 파일을 만들것이다. 먼저 Windows XP 설치 CD와 BartPE 이미지 파일, Macrium Reflect의 복구 이미지를 준비한다. 다음 아래의 순서에 따라 진행한다.
1. 필요한 파일 복사하기 2. BCDW 설정하기 3. CDImage를 사용해서 부팅 이미지 파일 만들기 4. 이미지를 확인하고 CD에 굽거나 USB CD영역에 넣어 사용하기
1. 필요한 파일 복사하기
위에서 준비한 설치 CD와 이미지 파일들을 CD롬에 넣고 가상 드라이브 프로그램(이응, Virtual Drive Manager, PFMAP 등)을 사용해서 마운트한다. 위 그림처럼 준비되었으면 이제 필요한 파일을 복사한다.
일단 필요한 파일을 복사할 폴더를 만든다. 위 그림처럼 BootCD라는 폴더를 만들고 그 속에 필요한 파일을 복사하겠다. BCDW 2.0a1을 내려받고 압축을 푼다. 여러 폴더가 있는데 그 중에서 BCDW 폴더로 이동하면 bcdw.bin, bcdw.ini, loader.bin 3개의 파일이 있다. BootCD 폴더 속에 BCDW라는 폴더를 만들고 아까 압축을 풀어둔 bcdw201a\bcdw 폴더 속의 bcdw.bin, bcdw.ini, loader.bin 파일을 BootCD\BCDW 폴더에 복사한다.
이번엔 앞에서 마운트한 드라이브로 이동해서 각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모든 파일과 폴더를 BootCD 폴더에 복사한다. 그러나 위 그림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Windows XP와 BartPE에는 중복되는 파일과 폴더가 있다. 일단 Windows XP 설치 이미지와 Macrium Reflect 복구 이미지의 내용을 BootCD로 복사한다. 그리고 BartPE의 I386 폴더를 I387이나 WNPE 등 네 글자의 폴더로 바꿔서 BootCD 폴더에 복사한다. Programs
폴더는 그대로 복사하고, autorun.inf, BOOTFONT.BIN, WIN51P, WIN51P.SP3 파일은 Windows
XP 설치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으니 복사하지 않는다. * Windows XP를 설치하는데는 I386 폴더와 BOOTFONT.BIN, SETUP.EXE, WIN51, WIN51IP, WIN51IP.SP3 파일만 있으면 된다. Windows XP 설치 CD의 내용은 위 그림과 다를 수 있다.
앞의 내용처럼 복사를 마치면 위 그림처럼 된다. 이번엔 아까 BartPE의 I386 폴더를 I387(또는 다른 4글자의 이름)로 바꾼 것을 적용시켜야 한다. I386을 I387로 이름을 바꿨지만 BartPE는 여전히 I386이 BartPE의 폴더라고 인식한다. 그래서 Windows XP 설치 이미지에서 복사한 I386 폴더의 내용을 사용하려고 하고, 그것 때문에 BartPE 사용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Hex 에디터로 BartPE가 I386이 아닌 I387 폴더를 인식하도록 수정해야 한다. 무료 Hex 에디터인 HxD나 XVI32를 내려받아 실행한다.
Hex 에디터(HxD)로 BootCD\I387 폴더(BartPE)의 SETUPLDR.BIN 파일을 연다.
그리고 [Search] - [Replace]를 선택해서 위 그림처럼 입력하고 [Replace all] 버튼을 누른다.
위 그림처럼 4개의 항목이 바뀌었다는 메시지가 나오면 정상적으로 수정된 것이다. 이제 수정한 SETUPLDR.BIN 파일을 저장하고 HxD를 종료한다. 이제 파일 준비는 끝났다. BCDW의 설정을 변경해서 세 가지 방식으로 부팅할 수 있도록 부팅메뉴를 만들자.
* 만약 파일이 저장되지 않고 오류 메시지가 나오면 탐색기에서 I387 폴더의 SETUPLDR.BIN 파일의 속성을 확인한다. '읽기 전용'에 체크되어 있으면 체크를 해제하고 다시 수정한 내용을 저장한다.
2. BCDW 설정하기
이제 필요한 파일의 준비가 끝났다. 다음으로 할 일은 BCDW 폴더의 bcdw.ini 파일을 수정해서 부팅 메뉴를 만드는 것이다. BootCD\BCDW\bcdw.ini 파일을 메모장으로 연다.
bcdw.ini 파일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InitOptions]는 BCDW 전체의 로고나 글꼴 등을 지정하는 부분, [MenuItems]는 부팅 메뉴를 만드는 부분, 그리고 [MenuOptions]는 부팅 메뉴의 제목이나 스타일, 기본 부팅 메뉴 등을 설정하는 부분이다. [MenuItems] 부분이 가장 중요한데 여기서는 최대한 간단하게 bcdw.ini 파일을 수정해보자. * bcdw.ini 파일에서 각 줄 시작에 ; 를 입력하면 그 줄이 주석처리되어 BCDW에서 처리되지 않는다. 필요 없는 줄을 주석처리하거나 삭제하면 된다.
[InitOptions]는 굳이 설정할 필요가 없다. 간단히 항목의 내용만 살펴보고 넘어가자. PasswordMD5Hash - 비밀번호를 Hash 값으로 변환해서 입력하는 항목이다. 예를 들어 circlash를 비밀번호로 지정하려면 4c9361240ee25b25215df317를 입력하면 된다. 비밀번호를 정하면 부팅 메뉴를 선택하고 나서 비밀번호를 묻는 화면이 나온다. Hash 값은 여기서 변환할 수 있다. Logo - BCDW를 처음 시작할 때 출력할 스플래쉬 화면을 지정하는 항목이다. gif 파일이나 Animate gif 파일을 사용할 수 있다. Font / Charset - 부팅 메뉴에 사용할 언어와 글꼴을 정하는 항목이다.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값인 영어가 출력된다. RootMenu - BCDW 메뉴 항목을 다른 파일에서 불러오는 것인데 bcdw.ini 파일만 사용해도 웬만한 메뉴는 구성할 수 있다. 여러 개의 ini 파일을 사용해서 확장 메뉴를 구성할 수 있다.
위의 5가지 항목은 모두 주석처리하거나 비워둬도 상관 없다.
[MenuItems]는 직접 화면에 표시되는 부팅 메뉴를 구성하는 항목이다. 위 그림처럼 부팅 메뉴를 구성해서 원하는 항목으로 부팅할 수 있다.
위 그림의 [MenuItems] 설정이다. bcdw.ini의 기본 설정에서 몇 가지만 변경한 것이다. : 는 그 줄에 아무런 내용도 표시하지 않고 비워두라는 표시이다. 그래서 위 그림처럼 1, 3, 5, 7, 9번 째 줄은 빈 칸으로 표시되고 내용이 입력되어 있는 2, 4, 6, 8번 째 줄에 부팅 메뉴가 표시되는 것이다. 그리고 [C:\], [\I387\setupldr.bin] 등은 부팅 파일의 위치를 지정하는 부분이고 [; Boot from drive C:], [; Bart's Preinstalled Environment] 등은 부팅 메뉴에 표시할 이름이다. 부팅 파일은 각 부팅 이미지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 BCDW 페이지의 FAQ를 참고하면 된다. 마지막의 isolinux.bin 뒷부분은 isolinux 부팅 설정에 관한 부분인데 보통 isolinux.cfg 파일에 설정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신경쓰지 않고 생략해도 된다. [C:\]는 C 드라이브에 설치된 OS를 이용해서 부팅하는 메뉴이다. 이제 [MenuItems]를 수정해보자.
위 그림처럼 [MenuItems] 부분을 입력하고 [MenuOptions]로 넘어간다.
[MenuOptions]는 이름 그대로 부팅 메뉴의 스타일이나 제목 등을 설정하는 항목이다. 부팅 메뉴의 위치나 크기, 색 구성, 제목, 기본 선택 항목, 선택 시간, 도움말과 About, 스크롤바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일단 필요한 몇 가지 항목만 간단히 설정해보자.
MenuTitle = Windows XP SP3 Setup, BartPE and Macrium Reflect Rescue CD ; Window title MenuDefault = 7 ; Index of default boot image MenuTimerLabel = Time remaining: ; Timer label MenuTimer = 30 ; Timer delay in seconds
개인적으로 생각했을 때 위의 4 가지 항목만 수정해도 될 것 같다. [MenuTitle]은 부팅 메뉴 첫 줄의 제목을 정하는 항목이고 [MenuDefault]는 기본 선택 메뉴를 정하는 항목이다. [MenuItems]의 첫 번째 줄은 0, 두 번째 줄은 1이다. 위의 예 처럼 7로 설정하면 7번째인 [C:\ ; Boot from Harddisk]가 기본 메뉴로 선택된다. (: 로 빈 칸 설정된 부분도 한 줄로 인식된다.) [MenuTimerLabel]은 시간 표시 앞의 글씨를 정하는 항목이고 [MenuTimer]는 부팅 메뉴 선택 시간을 정하는 항목이다. [MenuTimer]를 5초나 10초 등 원하는 시간으로 바꾼다. 위 그림처럼 설정하면 기본으로 7번째인 Boot from Harddisk가 선택되고 사용자가 다른 부팅 메뉴를 선택할 시간이 30초가 주어진다. 시간 앞에는 [Time remaining]이라는 글귀가 표시되고 부팅 메뉴 가장 위엔 [Windows XP SP3 Setup, BartPE and Macrium Reflect Rescue CD]라는 부팅 CD의 이름이 표시된다.
이것 이외에도 [MenuOptions]에는 HelpXXX, AboutXXX, ScrollXXX 항목들이 있다. 이 항목들은 부팅 메뉴에 도움말 등의 정보를 입력해서 표시하는 창을 만드는 것인데, 특별히 필요 없으니 원하는 경우에만 사용하고 그렇지 않으면 전부 삭제해도 상관 없다. 아래는 이렇게 해서 간단하게 만든 bcdw.ini 파일이다. [#M_bcdw.ini 파일 보기|bcdw.ini 파일 감추기| [InitOptions]
[MenuItems] : \I386\setupldr.bin ; Microsoft Windows XP SP3 Setup : \I387\setupldr.bin ; Bart's Preinstalled Environment : /isolinux/isolinux.bin ; Macrium Reflect Rescue System : C:\ ; Boot from Harddisk :
[MenuOptions]
Blink = 0 ; Blinking: 0 - disable, 1 - enable
BGColors = 00, 80, 80, 80 ; Background colors: border, background, top line, bottom line BGSymbol = 32 ; Decimal code of background filler: 32, 176, 177, 178 TopText = ; Top line text BottomText = ; Bottom line text
MenuPosition = 02, 05, 76, 13 ; Window Position: X, Y, width, height MenuPositionA = 02, 05, 76, 13 ; Window Position: X, Y, width, height MenuColors = f9, 9f, 1f, f0, 0f, fd, f9 ; Window colors: border, title on got focus, title on lost focus, window content, current line on got focus, current line on lost focus, unacceptable lines MenuBorderStyle = 5 ; Border style: 0, 1, 2, 3, 4, 5 MenuShadowStyle = 2 ; Shadow style: 0, 1, 2 MenuTitle = Windows XP SP3 Setup, BartPE and Macrium Reflect Rescue CD ; Window title MenuDefault = 7 ; Index of default boot image MenuTimerLabel = Time remaining: ; Timer label MenuTimer = 30 ; Timer delay in seconds
수정된 bcdw.ini 파일의 내용을 저장하고 메모장을 닫는다.
3. CDImage를 사용해서 부팅 이미지 파일 만들기
bcdw.ini 파일 설정을 마쳤으면 이제 준비한 파일들을 이미지 파일로 만들 차례다. 이미지 파일은 이응이나 UltraISO, MagicISO 등의 프로그램으로 만들어도 되지만, 여기서는 CDImageGUI를 사용하겠다. Windwos XP 설치 CD와 BartPE에는 모두 I386이라는 폴더가 포함되어 있다. 물론 두 폴더에 중복되는 파일도 있다. 일반적인 프로그램으로 이미지 파일을 만들면 중복되는 파일을 그대로 기록하기 때문에 이미지 파일의 크기가 커지지만 CDImage는 중복되는 파일을 링크로 만들어서 이미지 파일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 이미지 파일을 만들 때 부팅할 수 있는 이미지를 만들어야 하는데, 이는 BootCD\BCDW\loader.bin 파일을 사용하면 된다.
먼저 CDImageGUI를 내려받아 압축을 풀고 CDImageGUI.exe 파일을 실행한다. 다음 아래 그림과 같이 CDImageGUI를 설정하고 [Creation] - [Start Image Creation]을 클릭해서 멀티 부팅 이미지 파일을 만든다.
아까 만들었던 작업 폴더 경로를 위에 입력하고 아래에 생성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할 위치와 파일 이름을 입력한다.
-h에 체크해서 숨겨진 파일도 포함해서 이미지 파일을 만든다.
-n은 파일이나 폴더의 이름이 8글자보다 길 때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다.
-b에 체크해서 부팅할 수 있는 이미지를 만들어야 한다. 아래의 빈 칸에 BCDW 폴더 안의 loader.bin 파일 경로를 입력한다.
-o 옵션에 체크하면 중복되는 파일을 한 번만 기록해서 이미지 파일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m 옵션은 650MB가 넘는 크기의 이미지 파일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메뉴다. 정품 Windows XP 설치 CD와 BartPE의 크기를 합치면 650MB가 넘으니 체크한다. -l은 이미지 파일의 이름을 입력하는 부분이다. 원하는 이름을 입력한다.
위와 같이 설정했으면 [Start Image Creation] 버튼을 눌러 이미지를 생성한다.
* CDImage.exe와 oscdimg.exe는 MS 내부에서 사용하는 이미지 파일 생성 프로그램이다. OSCDImg는 CDImage의 상위 버전이라 생각하면 된다. CDImageGUI에서 [Startup] - [Config] - [Use External CDImage]를 선택하고 [Select your CDImage EXE]에 CDImage.exe나 OSCDImg.exe 파일을 지정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 명령 프롬프트에서 CDIMAGE -l"이미지파일이름" -h -n -o -m -b"작업폴더경로\BCDW\loader.bin" "작업폴더경로" "이미지 파일 저장 위치와 이름.iso"
를 입력하면 위 그림에 설정된 내용과 같은 설정으로 이미지 파일을 만들 수 있다.
4. 이미지를 확인하고 CD에 굽거나 USB CD영역에 넣어 사용하기
▲ BCDW 부팅 메뉴
▲ Windows XP 설치
▲ BartPE 부팅
▲ Macrium Reflect 복구
이제 만들어진 이미지 파일을 확인해보자. MobaLiveCD를 실행해서 앞에서 만든 이미지 파일을 불러온다. 위 그림처럼 제대로 부팅이 되면 성공한 것이다. 이제 이 이미지 파일을 CD 레코딩 프로그램(이응, CDBurnerXP, Ashampoo Burning Studio 등)을 사용해서 이미지 파일 굽기로 CD에 굽거나 PTMD로 OTI Controller USB에 CD영역 만들기 글을 참고하여 USB의 CD영역에 구워서 사용하면 XP 설치, BartPE 부팅, Macrium Reflect 복구를 할 수 있는 CD나 USB를 만들 수 있다. 위 과정을 응용하면 여러 가지 내용이 포함된 멀티 부팅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