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페라 웹폰트(3)
-
블로그에 유용한 태그 6 - 티스토리 블로그에 웹폰트 적용하기 (2)
* 이 글엔 웹폰트 적용을 위한 다양한 코드와 그 코드를 사용하는 이유 등 다소 지루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과정이 아닌 결과만이 궁금하신 분은 이 글을 클릭하면 맨 아래 결론 부분으로 이동합니다. 블로그에 유용한 태그 3 - 티스토리 블로그에 웹폰트 적용하기 게시물에서 웹폰트 적용에 대해 이야기했다. 그때 이야기한 코드는 다음과 같다. @font-face { font-family: "글꼴 이름"; src: url('./images/글꼴파일.eot'); src: local('컴퓨터의 글꼴 이름'), url('./images/글꼴파일.ttf') format('truetype');} 위 코드를 CSS에 추가하거나 style 태그를 사용해서 HTML 문서에 삽입하면 해당 웹폰트를 사용할 수 있다. 먼저 ..
2011.04.11 -
블로그에 유용한 태그 3 - 티스토리 블로그에 웹폰트 적용하기
** 꽤 지루한 글이 될 것 같습니다. 웹폰트에 관심 없으신 분은 읽지 않으셔도 좋습니다. ** 이 글이 블로그에 유용한 태그라는 범주에 포함되는지 아닌지 모르겠다. 티스토리가 아닌 다른 블로그엔 적용해보지 않아서 사용할 수 있는지 없는지도 알지 못한다. 어쨌든, 티스토리 블로그 또는 개인 홈페이지에선 적용할 수 있다. 인터넷을 돌아다니다 보면 웹폰트라는 단어를 볼 수 있다. 쉽게 생각하면 싸X월드 글꼴과 비슷한 것이다. 도토리를 주고 글꼴을 구매하면 자신의 미니홈피를 표시하는 글꼴이 바뀐다. 이와 비슷하게 블로그 스킨(skin.html/ style.css)을 만들 때도 내 블로그를 표시할 특정 글꼴을 사용하도록 지정한다. 그러면 내 블로그를 방문하는 사용자의 컴퓨터에 내가 지정한 글꼴이 설치되어 있을 ..
2010.09.07 -
웹폰트 말썽이네..
오랜만에 웹폰트 좀 써보려고 살짝 작업을 좀 했다. 웹폰트는 내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글꼴로 지정된 웹 페이지를 볼 때 기본 글꼴로 나오는 대신 해당 웹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웹폰트를 사용해서 페이지를 표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맑은 고딕' 글꼴을 사용하도록 만든 블로그를 맑은 고딕이 없는 XP 사용자가 방문하면 웹 브라우저에서 지정한 기본 폰트나 시스템 기본 폰트를 사용해서 표시한다. 그러나 맑은 고딕을 웹폰트로 지정하면 내 컴퓨터에 맑은 고딕이 없어도 해당 블로그는 항상 맑은 고딕으로 표시된다. 원래 웹폰트는 IE에서만 지원하는 기능이었다. 게다가 그것도 ttf가 아닌 otf도 아닌 eot라는 형식의 폰트를 사용해야 했다. eot는 어디서 구하냐고? ttf 파일을 변환해야 한다. 그럼 웹폰트..
2010.09.02